▶ thymeleaf 사용하기
컨트롤러에서 맵핑 설정한 파일로 이동시, forward 형식으로 Attribute에 값을 저장할 수 있다.
값을 저장하는 객체는 Request가 아닌 Model으로, setAttribute메소드가 아닌 addAttribute메소드를 사용한다.
Attribute에서 저장한 값을 index.html 파일에서 thymeleaf로 열어보도록 하자.
타이틀에 str1 값을 addAttribute 하고, 그 값을 불러오는 방법으로는 th:text="${값}"으로 불러온다.
ArrayList로 여러 값을 저장하였다면, JSP에서 반복문을 풀어 테이블에 행을 여럿 추가하게 하였다.
thymeleaf 에서 반복문을 어떻게 푸는지 알아보자.
thymeleaf에서 each 반복문을 풀어봣다. 식별자 m으로 ${member}라는 속성값을 받아오고,
그 값의 행만큼 반복한다.
값 표현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다.
th:text = "${속성값}"
[[${속성값}]]
'Frameworks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hymeleaf 의 링크 (0) | 2020.05.19 |
---|---|
thymeleaf 반복문, 조건문 (0) | 2020.05.19 |
thymeleaf / 스프링부트 레이아웃 (0) | 2020.05.18 |
스프링 부트, 컨트롤러 (0) | 2020.05.18 |
스프링 프레임 워크 (0) | 2020.05.18 |